PR
OATC의 각종 소식과 최신 뉴스를 확인해보세요.
OATC(오에이티씨), 시험검사업계 최초 식약처 연동 통합 IT시스템 구축
OATC(오에이티씨), 시험검사업계 최초 식약처 연동 통합 IT시스템 구축식약처 LIMS와 연동 시험‧검사 관련 정보 자동전송 '신뢰성, 안전성, 투명성' 확보 국내 종합 시험·검사기관의 대표주자 (주)오에이티씨(OATC)가 식약처 LIMS(통합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와 연동되는 통합 IT시스템을 업계 최초로 구축해 지난 1월 1일부터 전면 사용한다고 1월 7일 밝혔다. OATC는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 LIMS와 ERP, Groupware를 통합한 선진 시스템인 ‘LEGO(LIMS, ERP & Groupware of OATC)’를 구축하면서 식약처 LIMS와 연동되도록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다. 국가 공인 시험·검사기관은 시험·검사 정보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약처 LIMS에 시험·검사 결과 등 시험·검사에 관한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OATC는 업계 최초로 식약처 LIMS와 연동해 시험‧검사 관련 정보가 식약처에 자동 전송되도록 구축함으로써 시험·검사 결과와 정보의 신뢰성과 안정성, 투명성을 확보했다. 또 식약처에서 개정하는 시험‧검사 관련 최신 법률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시험·검사 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고 시험·검사기관과 관련된 법과 규정을 철저히 준수할 수 있게 됐다. 이 외에도 독립적으로 사용하던 LIMS와 ERP, 그룹웨어를 통합해 중복업무와 시스템 오류를 줄임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했다. OATC 관계자는 “LEGO 시스템을 구축 시행함으로써 업무 생산성 제고와 대내외적인 신뢰도 향상은 물론 직원들의 워라벨 문화 조성에도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투명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내부통제시스템과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도입을 통해 OATC만의 차별화된 통합IT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OATC는 식품, 축산물, 농산물, 화장품, 위생용품, 포장재 등의 시험‧검사와 피부임상시험 등에 대한 연구 서비스를 제공하고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등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랩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업 영역 확장을 활발히 하고 있다. OATC의 사업 분야, 시험‧검사 가능 항목 등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www.oatc.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원문 바로가기 >>
2021.01.08
NEWS
오에이티씨(OATC), 시험검사업계 최초 식약처 연동 통합 IT시스템 구축
㈜오에이티씨(OATC), 시험검사업계 최초 식약처 연동 통합 IT시스템 구축 국내 종합 시험, 검사기관의 대표주자 ㈜오에이티씨(OATC)가 식약처 LIMS(통합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와 연동되는 통합 IT시스템을 업계 최초로 구축, 2021년 1월 1일부터 전면 사용한다고 7일 밝혔다. OATC는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 LIMS와 ERP, Groupware를 통합한 선진시스템 'LEGO(LIMS, ERP & Groupware of OATC)'를 구축하면서 식약처 LIMS와 연동되도록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다. 국가 공인 시험·검사기관은 시험·검사 정보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약처 LIMS에 시험, 검사 결과 등 시험, 검사에 관한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OATC는 업계 최초로 식약처 LIMS와 연동해 시험, 검사 관련 정보가 식약처에 자동 전송되도록 구축함으로써 시험, 검사 결과 및 정보의 신뢰성과 안정성, 투명성을 확보했다. 또한, 식약처에서 개정하는 시험·검사 관련 최신 법률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시험, 검사 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고 시험, 검사기관과 관련된 법과 규정을 철저히 준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도 독립적으로 사용하던 LIMS와 ERP, 그룹웨어를 통합해 중복업무와 시스템 오류를 줄임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했다. OATC 관계자는 "LEGO 시스템을 구축 시행함으로써 업무 생산성 제고와 대내외적인 신뢰도 향상은 물론 직원들의 워라벨 문화 조성에도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투명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내부통제시스템과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도입을 통해 OATC만의 차별화된 통합IT시스템을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OATC는 식품, 축산물, 농산물, 화장품, 위생용품, 포장재 등의 시험, 검사와 피부임상시험 등에 대한 연구 서비스를 제공하고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등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랩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업 영역 확장을 활발히 하고 있다. OATC의 사업 분야, 시험, 검사 가능 항목 등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원문 바로가기 >>
2021.01.07
NEWS
OATC(오에이티씨)-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알츠하이머 치매 및 우울증 신약 공동 기술 개발 계약 체결
OATC(오에이티씨)-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알츠하이머 치매 및 우울증 신약 공동 기술 개발 계약 체결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랩 ㈜오에이티씨(OATC)는 12월 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신경염증성 뇌질환 및 우울증 신약을 공동으로 기술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뿐만 아니라 신경병증성 통증,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중추신경계 질환들은 바이오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난공불락의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에 따른 다양한 신약 개발 시도가 좌절되는 등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방향성마저 의심받고 있다. 이렇듯 신경세포에만 집중해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노력들이 진전을 보이지 않자 과학계는 새로운 곳으로 눈길을 돌렸다. 바로 뇌 속의 유일한 면역세포인 마이크로글리아(microglia)다. 뇌에 침투한 외부 병원균을 제거하거나 뇌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 뇌를 보호하는 마이크로글리아의 기능 이상이 다양한 뇌질환의 핵심 병인 기전임이 새롭게 밝혀진 것. 그러다 보니 최근 글로벌 바이오 업계는 마이크로글리아 기능 조절에 의한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OATC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마이크로글리아 연구를 통한 뇌질환 치료제 개발이라는 목표 하에 손을 잡았다. OATC의 CTO이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신경면역학 교수인 이성중 박사를 주축으로 마이크로글리아를 전문 연구하며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OATC가 마이크로글리아 기능 이상에 따른 치매 발병 기전을 연구하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인지과학전공 유성운 교수 연구팀과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다양한 뇌질환 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또한 공동기술개발에 따른 성과물은 OATC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공동으로 소유하며, OATC가 공동개발기술을 사업화하는 데 있어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공동 기술 개발을 통해 현재 유성운 교수 연구팀이 확보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후보 물질들에 대한 후속 심화 연구와 함께 추가 후보 물질 발굴, 신경병증성 통증이나 파킨슨병 등으로의 적응증 확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외에 스트레스에 의한 성체 신경줄기세포 사멸 연구를 통해 유성운 교수 연구팀이 확보하고 있는 우울증 치료 후보 물질에 대한 후속 연구도 공동 기술 개발 계약의 내용에 포함하고 있다. OATC 관계자는 “공동 기술 개발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각종 뇌질환 치료 후보 물질들을 발굴할 계획”이라며 “2021년 하반기에 발굴된 물질들에 대한 특허를 공동으로 출원한 뒤, 2022년 비임상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OATC는 지난 3월 ㈜글리아셀텍과 합병 이후 뇌질환 치료제 개발 등 사업 영역을 확장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식품, 축산물과 농산물, 화장품 및 위생용품, 포장재 등의 시험-검사와 피부임상시험 등에 대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OATC의 상세한 사업 분야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출처 : 더드라이브 : http://www.thedriv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3147141609
2020.12.08
NEWS